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건강 & 질환 정보

철과 마그네슘 효능 및 권장량

by 설명_충 2022. 8. 1.

살아가는데 있어서 철분과 마그네슘은 가장 중요한 무기질 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는 몸을 움직이는데 필요한 ATP를 합성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철과 마그네슘이 정확히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철(Iron)

 

철이란?

  철은 ATP를 합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 철분은 빈혈과 관련있는 무기질로 잘 알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매달 월경을 하여 철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빈혈 수치는 헤모글로빈, 철분 수치는 페레틴으로 알 수 있습니다. 페레틴이란 철을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입니다. 헤모글로빈과 더불어 철의 주요 저장 단백질입니다. 최근 분자영양학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페레틴 수치가 여성의 경우 150, 남성의 경우 200을 유지해야 건강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철 결핍 증상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빈혈입니다. 집중력이 저하되며 사소한 것에 예민하게 되어 쉽게 짜증이 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기가 힘들며 멍이 자주들고 피부 노화가 빨라집니다.

 

철의 섭취

  철은 저렴하고 효과적인 킬레이트 철이 좋습니다. 철 과잉은 철제 주사를 여러차례 맞는 것이 아니라면 오기 힘들다고 합니다. 분자영양학자들은 하루에 약 100mg 정도 섭취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마그네슘(Magnesium)

 

마그네슘이란?

  마그네슘은 몸의 에너지 및 근육 신경 유지 및 심장의 맥박을 정상화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특히 ATP를 만들 때 호기성 작용에 역할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서 호기성 작용이란 ATP를 만들 때 완전 연소가 되어 '물+이산화탄소'로 완전 분해되는 것을 뜻합니다. 또한 미국 국립위생연구소에 따르면 마그네슘은 우리 몸 속에서 300가지의 반응에 참여하는 무기질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마그네슘 결핍 증상

  눈꺼풀 떨리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심장병, 뇌졸증, 암, 당뇨병, 천식, 편두통, 신장결석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많은 연구에서 마그네슘 섭취를 통해 고혈압 억제, 심혈관 질환 예방, 중증 천식 발작 억제를 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마그네슘 섭취

  마그네슘은 어폐류, 해조류, 견과류, 통밀 등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쌀 같은 경우는 정제하는 과정에서 마그네슘이 제거 됩니다. 보충재로 섭취할 경우 효과가 떨어지는 산화마그네슘이 아닌 제품을 섭취해줍니다. 예를들어 킬레이트화 마그네슘, 구연산 마그네슘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분자영양학자들은 보충제로 드실 경우 하루에 200 ~ 1,200mg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잘 알고 섭취해서 건강 챙기시길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